리눅스 vi편집기 명령어(Last line mode)
리눅스 vi편집기 명령어
Last line mode
환경설정
:set nu : 행 번호 보이기
:set number : 행 번호 보이기
:set nonu : 행 번호 감추기
:set nonumber : 행 번호 감추기
:set autoindent : 들여 쓰기
:set ai : 들여 쓰기
:set noautoindent : 들여 쓰기 제거
:set noai : 들여 쓰기 제거
:set nolist : 문단 및 조판 부호 미출력
:set list : 문단 및 조판 부호 출력
:set window=[number] : 한 화면당 행의 개수
:set w=[number] : 한 화면당 행의 개수
:set all : 전체 환경 설정 확인
:set 전체 환경 설정 확인
:set noignorecase : 검색할 때 대소문자 구분
:set ignorecase : 검색할 때 대소문자 구분 없음
:set showmode : 현재 작업 모드 표시
:set noshowmode : 현재 작업 모드 표시 해제
:set ts=[number] Tab : [Tab] 키의 공백 넓이 지정(기본 값:8)
검색 및 수정 명령어
/문자열 : 커서가 위치한 라인 아래쪽으로 입력한 문자열을 검색
/ : 아래쪽으로 문자열 계속 검색
?문자열 : 커서가 위치한 라인 위쪽으로 입력한 문자열을 검색
? : 위쪽으로 문자열 계속 검색
:[number] : 지정한 라인으로 이동
:s/찾는 문자열/변경 문자열/g : 커서가 위치한 라인에서 문자열을 찾아 지정한 문자열로 변경
:[number]s/찾는 문자열/변경 문자열/g : 지정한 라인에서 문자열을 찾아 지정한 문자열로 변경
:[시찾작는 n u문m자be열r]/,변[종경료 문 n자um열b/egr]s/ : 지정한 라인 사이에서 문자열을 찾아 지정한 문자열로 변경
:%s/찾는 문자열/변경 문자열/gc : %는 전체를 의미하며, c는 변경 전 확인
:n : 여러 개의 파일을 열었을 경우 다음 파일을 읽어옴
:N : 여러 개의 파일을 열었을 경우 이전 파일을 읽어옴
저장 및 종료 명령어
:w : 저장하기
:w [file name] : 지정한 파일명으로 저장
:[시작 number],[종료 number]w [file name] : 지정한 라인 사이의 내용을 지정한 파일명으로 저장
:q : vi Editor 종료
:wq : 저장 후 vi Editor 종료
:wq! : 강제로 저장 후 vi Editor 종료
:x : 저장 후 vi Editor 종료
기타 명령어
:0 : 파일 내용의 가장 앞으로 이동
:$ : 파일 내용의 가장 뒤로 이동
:e [file name] : 다른 파일을 불러옴
:e! :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최종 저장된 상태로 파일 열기
:[시작 number],[종료 number]d : 지정한 라인 사이를 삭제
:sh : Shell 상태로 전환, 'exit'를 입력하면 다시 vi Editor로 전환
:! : [command] Shell 상태로 전환하여 명령 실행
:ab [약어] [문자열] : 약어를 입력하면 지정한 문자열로 자동 대체
:una [약어] : 약어 지정 취소
:ab : 현재 설정되어 있는 약어 확인
:map q :wq! : Command Mode에서 'q'를 입력하면 ':wq!'가 실행, 매크로 설정
:unmap q : 매크로 해제
:map : 현재 설정되어 있는 매크로 확인
OS : CentOS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