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잘츠부르크 여행
- 초단파방송
- 체스키크롬로프
- vi편집기
- 오스트리아 여행
- 트렌드코리아
- html5
- 도서평
- 클라우드
- ai 적용 프로세스
- 적극적 공격
- 모차르트 동상
- CK셔틀
- PIM-SM
- 프라하
- 체스키
- ai 프로세스
- 할슈타트 페리
- 무차별 공격
- BGP
- 잘츠부르크 김치
- init 0
- 소극적 공격
- 오스트리아
- 비엔나 여행
- init 6
- BGP AS_Path prepend
- 리눅스
- 레지오젯
- 체코
- Today
- Total
AndrewNA
이더채널(EtherChannel) 이론 및 실습 본문
Theory
이더채널은 Cisco에서 2개 이상의 물리적인 회선을 논리적으로 묶어서 1개의 선로로 사용하는 것
장점
- 2개의 이상의 채널을 합쳐 사용하여 대역폭이 증가
- 1개 선로가 끊어져도 다른 선로로 대체함으로 선로 이중화로 장애 예방
- 로드 밸런싱 가능
이대채널은 Cisco에서의 용어로 타 밴더에서는 이 기술을 Trunking(트렁킹)이라고 불린다.
이더채널 프로토콜과 옵션
PAGP
desirable : 무조건 PAGP를 사용
auto : 상대 스위치 포트가 PAGP 사용 할 경우에만 PAGP 사용
LACP
active : 무조건 LACP를 사용
passive : 상대 스위치 포트가 LACP 사용 할 경우에만 LACP 사용
on
무조건 on을 사용(상대 스위치도 on 필요)
상대 스위치와 협상없이 이더채널 맴버 포트를 모두 활성화. PAGP나 LACP와 다르게 스위치의 설정을 확인하지 않아 패킷 손실이나, 프레임 루프가 발생 위험
이더채널 액세스 포트 구성 조건
구성하려는 Port Speed, Duplex Mode, Vlan Number이 같아야 한다.
이더채널 트렁크 포트 구성 조건
구성하려는 Encapsulation, Native VLAN, Allowd VLAN이 같아야 한다.
Topology
Command
-IOU15-
IOU15(config)#interface range e0/0-1
IOU15(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5(config-if-range)#channel-protocol pagp // 기본 default
IOU15(config-if-range)#channel-group 16 mode desirable
IOU15(config)#int port-channel 16
IOU15(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5(config)#interface range e0/2,e1/2
IOU15(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5(config-if-range)#channel-protocol pagp
IOU15(config-if-range)#channel-group 17 mode auto
IOU15(config)#int port-channel 17
IOU15(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6-
IOU16(config)#interface range e0/0-1
IOU16(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6(config-if-range)#channel-protocol pagp
IOU16(config-if-range)#channel-group 16 mode auto
IOU16(config)#int port-channel 16
IOU16(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6(config)#int range e0/2,e1/2
IOU16(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6(config-if-range)#channel-protocol lacp
IOU16(config-if-range)#channel-group 19 mode active
IOU16(config)#int port-channel 19
IOU16(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7-
IOU17(config)#int range e0/2,e1/2
IOU17(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7(config-if-range)#channel-protocol pagp
IOU17(config-if-range)#channel-group 17 mode desirable
IOU17(config)#int port-channel 17
IOU17(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7(config)#int range e0/3,e1/3
IOU17(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7(config-if-range)#channel-group 18 mode on // on mode
IOU17(config)#int port-channel 18
IOU17(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8-
IOU18(config)#int range e0/3,e1/3
IOU18(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8(config-if-range)#channel-group 18 mode on // on mode
IOU18(config)#int port-channel 18
IOU18(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IOU18(config)#int range e0/2,e1/2
IOU18(config-if-range)#switchport mode trunk
IOU18(config-if-range)#channel-protocol lacp
IOU18(config-if-range)#channel-group 19 mode passive
IOU18(config)#int port-channel 19
IOU18(config-if)#switchport mode trunk
Check
IOUT18#show etherchannel summary // 이더채널 구성 확인
IOUT18#show ip int brief
2개의 인터페이스가 1개의 Port-Channel로 작동확인
IOUT18#show spanning-tree vlan 1
기본 STP우선순위에 의해 IOU16으로 Block
'■ Communications > ↘ Cisco G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TP(Multiple Spanning Tree Protocol) 이론 및 실습 (1) | 2019.03.19 |
---|---|
RSTP(Rapid STP) 이론 및 실습 (0) | 2019.03.18 |
VLAN Load Balancing, VLAN Load Sharing (0) | 2019.03.14 |
UDLD(Unidirectional link detectiono) (0) | 2019.03.14 |
루프가드(Loop Guard) 이론 및 실습 (0) | 2019.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