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도서평
- PIM-SM
- CK셔틀
- 소극적 공격
- init 6
- 무차별 공격
- 비엔나 여행
- 오스트리아 여행
- 모차르트 동상
- 오스트리아
- vi편집기
- 할슈타트 페리
- 체스키크롬로프
- 초단파방송
- 잘츠부르크 김치
- 잘츠부르크 여행
- 레지오젯
- BGP
- 트렌드코리아
- ai 프로세스
- BGP AS_Path prepend
- 체스키
- 프라하
- 클라우드
- html5
- 체코
- 적극적 공격
- 리눅스
- ai 적용 프로세스
- init 0
- Today
- Total
목록■ Communications (147)
AndrewNA

BGP Local preference 로컬 AS 경로에 대한 선호도로 로컬 AS 로부터 AS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 제어한다. AS라는 가상 라우터 관점의 송신경로를 위한 설정한다. Topology Command Router(config-router)#neighbor ip-address weight value // 모든 네트워크 정보에 weight 부여 // 특정 네트워크에 route-map 이용하여 Local preference 부여 Router(config)#route-map map-name permit seq Router(config-route-map)#match ip address access-list-number Router(config-route-map)#set local-preferen..

Cisco 전용으로 BGP 경로 설정에 있어 가장 최우시 되는 속성으로 동일 라우터 내에서 경로가 2개 이상 있을 경우에 Weight 값으로 Best 경로를 선출한다. Topology Command ( 기본 설정 제외 ) Router(config-router)#neighbor ip-address weight value // 모든 네트워크 정보에 weight 부여 // 특정 네트워크에 route-map 이용하여 weight 부여 Router(config)#route-map map-name permit seq Router(config-route-map)#match ip address access-list-number Router(config-route-map)#set weight value Route..

Topology Command (기본설정 제외) R8(config-router)#neighbor 7.7.7.7 route-reflector-client R7(config-router)#neighbor 9.9.9.9 route-reflector-client Check R9(config-router)#show ip bgp Network Next Hop Metric LocPrf Weight Path *>i1.1.1.0/24 6.6.6.6 0 100 0 100 i *>i3.3.3.0/24 6.6.6.6 0 100 0 100 200 i *>i5.5.5.0/24 6.6.6.6 0 100 0 100 200 300 i *>i150.1.2.0/24 6.6.6.6 0 100 0 100 200 i *>i150.1.3...

BGP confederation 컨페더레이션이란 AS내부에 사설 AS인 하위 AS를 생성해 하위 AS간에 eBGP 형식으로 연결하는 Fake eBGP로 하나의 공인 AS를 구성하여 라우팅 루프를 방지한다. Topology Command // Router(config-router)#bgp confederation identifier as-number // 공인 as Router(config-router)#bgp confederation peers as-number // 상대방 as // Command (기본설정 제외) R6(config)#router bgp 65100 R6(config-router)#bgp confederation identifier 400 // 공인 as R6(config-r..

Topology Command(기본설정 제외) ---------- BGP Peer Group ---------- R6(config-router)#neighbor PG peer-group // PG peer-group 생성 R6(config-router)#neighbor PG remote-as 400 // PG remote-as 400 설정 R6(config-router)#neighbor 7.7.7.7 peer-group PG // PG 그룹에 넣을 네이버 설정 R6(config-router)#neighbor 8.8.8.8 peer-group PG R6(config-router)#neighbor PG update-source lo0 // PG 그룹 내 lo0을 업데이트 소스로 사용 R6(config-rou..

Topology Command(기본설정 제외) ACL 이용 => R1에서 R3의 lo1 ip 150.1.0.1/24, 150.1.1.1/24 제외 (R2에서 설정) R2(config)#access-list 10 deny 150.1.0.0 0.0.1.255 R2(config)#access-list 10 permit any R2(config-router)#neighbor 1.1.1.1 distribute-list 10 out // 1.1.1.1로 나가는 포트 적용 PFL 이용 => R1에서 R3의 lo1 ip 150.1.0.3/24 제외 (R1에서 설정) R1(config)#ip prefix-list Filter deny 150.1.3.0/24 R1(config)#ip prefix-list Filter pe..

Topology Commend R1(config)#ip route 2.2.2.2 255.255.255.0 s1/0 R1(config)#ip route 2.2.2.2 255.255.255.0 s1/2 R1(config)#router bgp 100 R1(config-router)#neighbor 2.2.2.2 remote-as 200 R1(config-router)#neighbor 2.2.2.2 ebgp-multihop 3 sho R1(config-router)#neighbor 2.2.2.2 update-source lo0 R2(config)#ip route 1.1.1.0 255.255.255.0 s1/0 R2(config)#ip route 1.1.1.0 255.255.255.0 s1/2 R2(config)..

Topology Commend R1(config)#router bgp 100 // BGP as number 100 R1(config-router)#neighbor 10.1.12.2 remote-as 200 // next-hop remote-as 200 R1(config-router)#neighbor 10.1.16.6 remote-as 400 // next-hop remote-as 200 R1(config-router)#network 1.1.1.0 mask 255.255.255.0 // 자신 ip 광고 R2(config)#router ospf 1 R2(config-router)#network 2.2.2.0 0.0.0.255 area 0 R2(config-router)#network 10.1.23.0 0...

Topology Commend ( OSPF 및 기본 설정 생략 ) R1(config)#router bgp 100 R1(config-router)#neighbor 10.1.12.2 remote-as 200 // next-hop remote-as 200 R1(config-router)#network 1.1.1.0 mask 255.255.255.0 // 자신 ip 광고 R2(config)#router bgp 200 R2(config-router)#neighbor 10.1.12.1 remote-as 100 // eBGP R2(config-router)#neighbor 4.4.4.4 remote-as 200 // iBGP 루프백 ID를 주어 장애방지 R2(config-router)#neighbor 4.4.4..

Topology Command -R1- R1(config)#int loopback 0 R1(config-if)#ip address 1.1.1.1 255.255.255.0 R1(config)#int s1/1 R1(config-if)#ip address 10.1.12.1 255.255.255.0 R1(config-if)#no shut R1(config)#router ospf 1 // process 1 R1(config-router)#network 1.1.1.1 0.0.0.255 area 0 // area 0 R1(config-router)#network 10.1.12.0 0.0.0.255 area 0 -R2- R2(config)#int loopback 0 R2(config-if)#ip address 2.2...

Topology R2-R3 Fast Ethernet 구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IP를 부여하여 부하분산 확인 R3 -> R2 가상 IP 이용 설정 -R3- R3(config)#ip route 1.1.1.1 255.255.255.255 192.168.23.2 R3(config)#ip route 1.1.1.1 255.255.255.255 192.168.32.2 R3(config)#ip route 10.2.2.2 255.255.255.255 1.1.1.1 Show ip route를 해보면 10.2.2.2/32가 가상 IP 1.1.1.1을 거친다. Check Road Balancing 확인 Trace Route 이용 확장 ping 이용

Static Routing 라우팅을 수동으로 직접 경로를 설정해주는 방법 Topology R1에서 R2를 Static 라우터로 구성하고자 한다. 해당하는 라우터에서 목적지 IP, 서브넷 마스크, Next hop 또는 출구 interface 를 입력해 주면 된다. 설정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해당 Interface ip 입력 및 no shutdown 필요) -R1- R1(config)#ip route 10.2.2.2 255.255.255.255 192.168.12.2 또는 R1(config)#ip route 10.2.2.2 255.255.255.255 Fa0/0 -R2- R2(config)#ip route 10.1.1.1 255.255.255.255 192.168.12.1 또는 R2(config)#i..
BMT(Bench Marking Test) 제품에 대한 성능 테스트로 보통 도입할 수 있는 장비가 다수 일 때, 사용시 가장 적합한 장비를 선정하기 위해 진행 POC(Proof of Concept) 신 기술 제품에 대한 기능 검증으로 실제 제조 업체에서 소개된 기술에 대한 정상 동작 여부와 내부 시스템과 문제 없이 호환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증
인터넷에서의 행위는 크게 업로드와 다운로드로 나눌 수 있다. 업로드(Upload) 인터넷에 무언가를 올릴 때 하는 행위 ex) 페이스북 글 게시, 유튜브 영상 올리기, 아프리카 방송 송출 등 다운로드(Download) 인터넷에서 무언가를 받을 때 하는 행위 ex) 유튜브 방송 시청, 네이버 웹페이지 접속 등 이때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에 따라 대칭 서비스와 비대칭 서비스로 나뉜다. 대칭 서비스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가 같은 서비스 ex) 일반적인 광랜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같음 비대칭 서비스 업로드와 다운로드 속도가 다른 서비스 ex)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는 다운로드에 비해 업로드가 느린 비대칭 서비스
밴더(Vendor) 제품 제조사를 말한다. ex) Cisco, Junifer, IBM, Dell 등 케이스 오픈(Case Open) 제품 제조사 문의로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 오류에 대해 밴더 파트너사에서 원인 분석이 불가능할 때 제조사에 케이스 오픈 한다고 한다.
EoS(End-of-Service) 제품에 대한 기술지원 만료로 EoS가 되면 제조사로부터 기술 지원을 받을 수 없다. EoS(End-of-Sale) 제품 판매 종료로 EoS가 되면 제조사로부터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없다. EoL(End-of-Life) 제품 단종으로 EoL이 되면 해당 제품 뿐만아니라 부품도 수급받을 수 없다. → 네트워크 업계에서 많이쓰는 용어로 제조사마다 약간씩 상이할 수는 있다.

Theory PIM-SM BSR은 Auto RP와 마찬가지로 자동으로 RP를 지정하는 표준 프로토콜 Topology Command(기본설정 제외) -R2- R2(config)#ip multicast-routing R2(config)#int range fa 0/0 - 1 R2(config-if-range)#ip pim sparse-mode -R3- R3(config)#ip multicast-routing R3(config)#int range fa 0/0 - 1 R3(config-if-range)#ip pim sparse-mode -R4- R4(config)#ip multicast-routing R4(config)#int range fa 0/0 - 2 R4(config-if-range)#ip pim sp..

Theory PIM-SM에서 AutoRP 방식은 RP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IP 선출은 Dense 모드로 그 이후로는 Sparse 모드로 작동 Topology Command -R2- R2(config)#ip multicast-routing R2(config)#int range fa 0/0 - 1 R2(config-if-range)#ip pim dense-mode -R3- R3(config)#ip multicast-routing R3(config)#int range fa 0/0 - 1 R3(config-if-range)#ip pim dense-mode -R4- R4(config)#ip multicast-routing R4(config)#int range fa 0/0 - 2 R4(config-i..

Theory PIM-SM 방식에서 관리자가 직접 RP를 지정하는 방식 Topology Command(기본설정 제외) -R2- R2(config)#ip multicast-routing R2(config)#ip pim rp-address 5.5.5.5 // R5의 Lo 0 주소인 5.5.5.5를 RP주소로 지정 R2(config)#int range fa 0/0 - 1 R2(config-if-range)#ip pim sparse-mode -R3- R3(config)#ip multicast-routing R3(config)#ip pim rp-address 5.5.5.5 R3(config)#int range fa 0/0 - 1 R3(config-if-range)#ip pim sparse-mode -R4- R..

Topology Command(기본설정 제외) -R2- R2(config)#ip multicast-routing R2(config)#int range fa 0/0 - 1 R2(config-if-range)#ip pim dense-mode -R3- R3(config)#ip multicast-routing R3(config)#int range fa 0/0 - 1 R3(config-if-range)#ip pim dense-mode -R4- R4(config)#ip multicast-routing R4(config)#int range fa 0/0 - 2 R4(config-if-range)#ip pim dense-mode -R5- R5(config)#ip multicast-routing R5(config)#i..